반응형
PFC(역률보정, Power Factor Correction)는 전력 효율을 높이고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필수 기술입니다. 아래는 PFC 회로 설계 절차를 단계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설계 요구사항 정의
PFC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주요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입력 전압 범위: 예: 85V~265V AC (유니버설 입력).
- 출력 전압: 예: 400V DC (일반적인 부스트 PFC 출력).
- 출력 전력: 예: 500W, 1000W 등.
- 역률 목표: 일반적으로 0.95 이상.
- 효율 목표: 예: 95% 이상.
- 동작 모드: CCM (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또는 BCM (Boundary Conduction Mode).
- 규격 및 표준: EN61000-3-2와 같은 역률 관련 표준 준수.
- 환경 조건: 동작 온도, 냉각 방식(자연 냉각/강제 냉각).
- 비용 및 크기 제한: 부품 선택과 설계 최적화에 영향을 미침.
2. PFC 토폴로지 선택
PFC 회로의 가장 일반적인 토폴로지는 부스트 컨버터입니다. 주요 토폴로지와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스트 PFC: 가장 널리 사용, 높은 출력 전압, CCM/DCM 가능.
- 벅-부스트 PFC: 낮은 출력 전압이 필요할 때 사용.
- 플라이백 PFC: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 인터리브드 PFC: 고전력 애플리케이션에서 리플 감소 및 효율 향상.
예: 500W 이하 시스템에서는 단상 부스트 PFC, 1kW 이상에서는 인터리브드 부스트 PFC를 고려.
3. 주요 부품 선택
(1) 인덕터 설계
인덕터는 PFC 회로의 핵심 부품으로, 전류 리플과 동작 모드에 따라 설계됩니다.
- 인덕턴스 계산:
- CCM의 경우:
\[ L = \frac{V_{in(min)} \cdot D_{max}}{\Delta I_L \cdot f_{sw}} \]
여기서:
-
- \( V_{in(min)} \): 최소 입력 전압 (예: 85V RMS → 120V peak).
- \( D_{max} \): 최대 듀티 사이클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 비율로 계산).
- \( \Delta I_L \): 허용 전류 리플 (일반적으로 피크 전류의 20~40%).
- \( f_{sw} \): 스위칭 주파수 (예: 50kHz~100kHz).
- DCM/BCM에서는 경계 조건을 고려하여 인덕턴스를 더 작게 설계.
- 코어 재료: 페라이트 또는 파우더 코어 (예: Kool-Mu, MPP).
- 권선: 구리 손실 최소화를 위해 적절한 AWG 선택.
(2) MOSFET 선택
- 정격 전압: 출력 전압(예: 400V)보다 20~30% 높은 내압 선택 (예: 600V MOSFET).
- 전류 정격: 최대 인덕터 전류 + 마진.
- Rds(on): 스위칭 및 전도 손실 최소화.
- 스위칭 속도: 빠른 스위칭으로 효율 향상 (SiC MOSFET 고려 가능).
(3) 다이오드 선택
- 브리지 다이오드: 입력 전압과 전류를 견딜 수 있는 정격.
- 부스트 다이오드: 빠른 복구 시간(Fast Recovery) 또는 SiC 다이오드 사용.
- 내압: 출력 전압 + 마진.
(4) 출력 커패시터
- 정격 전압: 출력 전압(예: 400V)보다 높은 내압 (예: 450V).
- 커패시턴스:
\[ C_{out} = \frac{2 \cdot P_{out} \cdot t_{hold}}{\eta \cdot (V_{out}^2 - V_{out(min)}^2)} \]여기서:
- \( P_{out} \): 출력 전력.
- \( t_{hold} \): 홀드업 시간 (예: 20ms).
- \( \eta \): 효율.
- \( V_{out(min)} \): 최소 허용 출력 전압.
(5) 컨트롤러 IC
- CCM, DCM, BCM에 적합한 PFC 컨트롤러 선택 (예: TI UCC28019, ON Semiconductor NCP1654).
- 기능: 전류 루프 제어, 전압 루프 제어, 과전압/과전류 보호.
4. 제어 루프 설계
PFC 회로는 전류와 전압을 제어하는 두 개의 루프를 포함합니다.
- 전류 루프:
- 입력 전류를 정현파로 유지하여 역률을 개선.
- 전류 센싱: 션트 저항 또는 홀 센서 사용.
- 제어 방식: 평균 전류 제어, 피크 전류 제어, 또는 경계 모드 제어.
- 전압 루프:
-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 PI(비례-적분) 제어를 통해 안정적인 출력 전압 유지.
- 대역폭: 전류 루프는 빠르게 (10kHz 이상), 전압 루프는 느리게 (10~20Hz).
5. 효율 및 EMI 고려
- 효율 최적화:
- 저손실 부품(SiC MOSFET, SiC 다이오드) 사용.
- 스위칭 주파수 최적화: 너무 높으면 스위칭 손실 증가, 너무 낮으면 인덕터 크기 증가.
- EMI 필터 설계:
- 입력단에 EMI 필터(커먼 모드 초크, X/Y 커패시터) 추가.
- CISPR 22와 같은 EMI 표준 준수.
- 필터 설계:
\[ f_c = \frac{1}{2\pi \sqrt{L_{CM} \cdot C_Y}} \]여기서 \( L_{CM} \), \( C_Y \)는 커먼 모드 인덕터와 Y-커패시터.
6. 시뮬레이션 및 검증
- 시뮬레이션:
- LTspice, PSpice, MATLAB/Simulink 등을 사용해 회로 동작 검증.
- 입력 전압 범위, 부하 조건, 스위칭 주파수에 따른 성능 확인.
- 역률, THD(Total Harmonic Distortion), 출력 리플 분석.
- 파라미터 튜닝:
- 제어 루프 게인 조정.
- 인덕터 및 커패시터 값 미세 조정.
7. 프로토타입 제작 및 테스트
- PCB 레이아웃:
- 고전류 경로 최소화.
- 스위칭 노드(인덕터-MOSFET-다이오드) 길이 최소화.
- 그라운드 플레인 분리(아날로그/파워).
- 테스트 항목:
- 역률 측정: 0.95 이상 확인.
- 출력 전압 안정성: 부하 변화 시 리플 및 응답 확인.
- 효율 측정: 최대 부하 및 경부하 조건.
- EMI 테스트: 규격 준수 여부.
- 열 분석: 주요 부품의 온도 상승 확인.
8. 최적화 및 양산 준비
- 부품 최적화: 비용, 크기, 성능 균형.
- 보호 기능 추가: 과전압, 과전류, 과열 보호.
- 양산 고려: 부품 가용성, 공급망 안정성, 제조 공정 단순화.
9. 문서화 및 규격 준수
- 설계 문서 작성: 회로도, BOM(Bill of Materials), PCB 레이아웃.
- 규격 준수 확인: EN61000-3-2, IEC 60950 등.
- 사용자 매뉴얼 및 유지보수 가이드 작성.
10. 예시 설계: 500W 부스트 PFC
- 입력: 85~265V AC, 50/60Hz.
- 출력: 400V DC, 500W.
- 스위칭 주파수: 65kHz.
- 인덕터: 500µH, 페라이트 코어.
- MOSFET: 600V, 10A, Rds(on) < 0.2Ω.
- 다이오드: SiC 다이오드, 600V, 8A.
- 커패시터: 470µF, 450V.
- 컨트롤러: UCC28019 (CCM 동작).
- 효율: 95% 이상.
- EMI 필터: 2단 LC 필터.
11. 추가 고려사항
- 고급 옵션: 디지털 PFC 제어(DSP/MCU 사용), 동적 부하 대응.
- 트렌드: SiC/GaN 기반 고효율 설계, 인터리브드 구조로 리플 감소.
- 문제 해결:
- 역률 낮음 → 전류 루프 튜닝.
- EMI 초과 → 필터 재설계 또는 스위칭 주파수 조정.
- 열 문제 → 방열판 추가 또는 부품 재선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