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ower Electronics7

PFC(역률보정, Power Factor Correction) 설계 절차 PFC(역률보정, Power Factor Correction)는 전력 효율을 높이고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필수 기술입니다. 아래는 PFC 회로 설계 절차를 단계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1. 설계 요구사항 정의PFC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주요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입력 전압 범위: 예: 85V~265V AC (유니버설 입력).출력 전압: 예: 400V DC (일반적인 부스트 PFC 출력).출력 전력: 예: 500W, 1000W 등.역률 목표: 일반적으로 0.95 이상.효율 목표: 예: 95% 이상.동작 모드: CCM (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또는 BCM (Bound.. 2025. 8. 11.
LLC 공진 컨버터 설계 절차 LLC 공진 컨버터는 고효율과 소프트 스위칭(Zero Voltage Switching, ZVS) 특성으로 인해 스위칭 전원 공급 장치(SMPS), 전기차 충전기, 서버 전원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LLC 공진 컨버터의 설계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며, 수식 유도와 실무적 고려사항을 포함해서,초보 엔지니어부터 전문가까지 참고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1. 설계 사양 정의설계의 첫 단계는 시스템 사양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예시 사양입니다:항목값입력 전압 범위최소: 320 V, 공칭: 360 V, 최대: 400 V (DC)출력 전압 (\( V_{out} \))24 V출력 전력 (\( P_{out} \))240 W최대 출력 전류 (\( I_{out} \))10 A효율 목표.. 2025. 8. 11.
CCM과 DCM 란 무엇인가? CCM과 DCM 상세 설명CCM(Continuous Conduction Mode)과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은 스위칭 전원 공급 장치(SMPS)에서 주로 사용되는 DC-DC 컨버터의 동작 모드로써, 이 두 모드는 인덕터 전류의 흐름 패턴에 따라 구분되며, 각각의 특성과 동작 원리를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합니다.1. CCM (Continuous Conduction Mode, 연속 전도 모드)정의CCM은 인덕터 전류가 스위칭 주기 동안 0으로 떨어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흐르는 동작 모드입니다. 즉, 인덕터 전류가 항상 양수(또는 음수)로 유지되며, 스위치가 꺼져도 전류가 계속 흐릅니다. 동작 원리스위치 ON 상태: 스위치(예: MOSFET)가 켜지면 인덕터에 전압이 인가되어.. 2025. 8. 2.
Buck-boost Converter 설계 절차 벅-부스트 컨버터 설계 절차벅-부스트 컨버터(buck-boost converter)는 입력 전압을 낮추거나 높여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DC-DC 컨버터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하에 벅-부스트 컨버터 설계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이 과정은 일반적인 설계 흐름을 따르며, 실제 설계 시에는 부품의 제약, 효율, 비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1. 설계 사양 정의설계의 첫 단계는 요구되는 사양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입니다.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입력 전압 범위 (Vin): 입력 전압의 최소값(Vin_min)과 최대값(Vin_max). 예: 5V~15V.출력 전압 (Vout): 필요한 출력 전압. 예: 12V.출력 전류 (Iout): 최대 부하 전.. 2025. 8. 2.
Flyback Converter 설계 절차 플라이백 컨버터 설계 절차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는 전력전자에서 널리 사용되는 DC-DC 컨버터로, 간단한 구조와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아래는 플라이백 컨버터 설계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 단계별 가이드입니다.1. 설계 사양 정의플라이백 컨버터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입력 및 출력 사양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입력 전압 범위: \( V_{in,min} \), \( V_{in,max} \) (예: 85V~265V AC 또는 12V~24V DC)출력 전압: \( V_o \) (예: 12V)출력 전력: \( P_o \) (예: 60W)출력 전류: \( I_o \) (예: 5A)스위칭 주파수: \( f_s \) .. 2025. 8. 2.
Buck Converter 설계 절차 벅 컨버터 설계 절차벅 컨버터(Buck Converter)는 입력 전압을 낮추어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로, 전력전자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아래는 벅 컨버터 설계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 단계별 가이드입니다. 설계 과정은 일반적인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하며, 구체적인 사양(입력 전압, 출력 전압, 출력 전류, 스위칭 주파수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1. 설계 사양 정의설계 시작 전, 벅 컨버터의 요구 사양을 명확히 정의합니다.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입력 전압 범위 (\( V_{in} \)): 예: 12V ~ 24V출력 전압 (\( V_{out} \)): 예: 5V최대 출력 전류 (\( I_{out} \)): 예: 3A출력 리플 전압 (\( \Delta V_{out} \)): 예: .. 2025. 8. 2.
Boost Converter 설계 절차 부스트 컨버터 설계 절차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더 높은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DC-DC 컨버터로, 전력전자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아래는 연속 전도 모드(CCM, Continuous Conduction Mode)를 가정한 설계 절차입니다.1. 설계 사양 정의부스트 컨버터 설계를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 사양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입력 전압 (V_in): 입력 전원의 전압 범위 (최소, 최대, 공칭).출력 전압 (V_out): 원하는 출력 전압.출력 전류 (I_out) 또는 출력 전력 (P_out): 부하가 요구하는 전류 또는 전력.스위칭 주파수 (f_s): 스위치의 동작 주파수 (예: 50kHz, 100kHz 등).효율 목표 .. 2025. 8.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