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wer Electronics/DC-DC변환

양방향 전력 전송 공진형 CLLC 컨버터 설계 절차 및 제어기 분석

by linuxgo 2025. 8. 19.

이 문서는 11kW 양방향 CLLC 컨버터 설계 절차와 제어기 분석을 설명합니다. 설계는 Infineon Technologies의 애플리케이션 노트(AN-2024-06, Revision V1.01, 2024-07-10)를 기반으로 하며, FHA(First Harmonic Approximation) 방법을 사용합니다. SiC MOSFET(IMZ120R030M1H)을 활용해 ZVS(Zero Voltage Switching) 및 **동기 정류(SR)**로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공진 탱크 파라미터(L1, C1, Lm, L2, C2)와 전압 게인 계산,  정전압(CV)정전류(CC) 모드의 제어기 설계가 포함됩니다.

CLLC converter
양방향 CLLC 컨버터

양방향 CLLC 컨버터 동작 원리

양방향 CLLC 컨버터공진 탱크(L1, C1, Lm, L2, C2)와 고주파 트랜스포머(HFT)를 사용해 양방향 전력 전달을 수행합니다. 반 스위칭 주기 동안 3가지 상태로 동작하며, ZVS로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AN-2024-06, 페이지 4-8, 그림 2-5).

  • 상태 1 (전력 전달): 1차 측 스위치(S1/S2 온)로 공진 탱크를 통해 전력 전달. 2차 측은 동기 정류(SR) 스위치(Ss3/Ss4)로 정류. 공진 전류(I_ab, I_cd)가 HFT를 통해 흐름.

  • 상태 2 (프리휠링): 스위칭 주파수(fs) < 공진 주파수(fr)일 때 발생. 공진 탱크 에너지 순환, 출력 전류 감소.

  • 상태 3 (데드 타임): 모든 스위치 오프, SiC MOSFET의 기생 커패시터 충/방전으로 ZVS 준비.

  • 스위칭 주파수 영향 (표 1):
    • fs > fr: 벅 모드, 부분 전력 전달, 하드 스위칭.
    • fs = fr: 공진 주파수 동작, 최대 효율.
    • fs < fr: 부스트 모드, 프리휠링으로 손실 증가.

  • 근거: AN-2024-06, 페이지 4-8, 2.1절; 그림 2-5, 표 1

 

설계 사양

  • 입력 전압: 700~800V (공칭 750V)
  • 출력 전압: 550~800V ( привязка 600V)
  • 공진 주파수: 73kHz
  • 출력 전력: 11kW
  • 참조: AN-2024-06, 페이지 10, 표 2

설계 단계

1. 트랜스포머 턴 비율(n) 계산

입력/출력 공칭 전압으로 턴 비율을 계산합니다.

  • 전진 모드: $$ n_f = \frac{V_{in}}{V_{out}} = \frac{750}{600} = 1.25 $$
  • 역방향 모드: $$ n_r = \frac{V_{in}}{V_{out}} = \frac{600}{750} = 0.8 $$
  • 근거: AN-2024-06, 페이지 10, Step 1

2. 전압 이득(Mg) 계산

최소/최대 전압 이득을 구합니다.

  • 순방향 모드:
    • 최소: $$ Mg_{min} = \frac{n_f \cdot V_{out,min}}{V_{in,max}} = \frac{1.25 \cdot 550}{800} = 0.86 $$
    • 최대: $$ Mg_{max} = \frac{n_f \cdot V_{out,max}}{V_{in,min}} = \frac{1.25 \cdot 800}{700} = 1.43 \approx 1.5 $$
  • 역방향 모드:
    • 최소: $$ Mg_{min} = \frac{n_r \cdot V_{out,min}}{V_{in,max}} = \frac{0.8 \cdot 700}{800} = 0.7 $$
    • 최대: $$ Mg_{max} = \frac{n_r \cdot V_{out,max}}{V_{in,min}} = \frac{0.8 \cdot 800}{550} = 1.164 $$
  • 근거: AN-2024-06, 페이지 10, Step 2; 그림 10

3. 인덕턴스 비율(k)과 품질 인자(Q) 선택

공진 탱크의 k(Lm/L1)와 Q(√(L1/C1)/Ro)를 선택합니다.

  • 선택: k = 4.45, Q = 0.3984 (Q 범위: 0.2~0.4)
  • 설명: k가 작으면 전압 이득공진 주파수(73kHz) 근처에서 최대, k가 크면 주파수 범위(40~250kHz) 확장.
  • 근거: AN-2024-06, 페이지 9, Step 3; 그림 8

4. 등가 저항(Ro) 계산

FHA로 1차 측 등가 저항을 계산합니다.

        $$ Ro = \frac{8n^2}{\pi^2} \cdot \frac{V_{out}^2}{P} = \frac{8 \cdot 1.25^2}{\pi^2} \cdot \frac{600^2}{11000} = 41.45 , \Omega $$

  • 근거: AN-2024-06, 페이지 7, Equation 1; 페이지 10, Step 4

5. 1차 공진 탱크 커패시터(C1) 계산

Q와 공진 주파수로 C1을 구합니다.

       $$ C1 = \frac{1}{2\pi Q f_r Ro} = \frac{1}{2 \cdot \pi \cdot 0.3984 \cdot 73 \times 10^3 \cdot 41.45} = 132 , \text{nF} $$

  • 근거: AN-2024-06, 페이지 10, Step 5

6. 1차 공진 탱크 인덕터(L1) 계산

공진 주파수 공식으로 L1을 계산합니다.

       $$ L1 = \frac{1}{(2\pi f_r)^2 C1} = \frac{1}{(2 \cdot \pi \cdot 73 \times 10^3)^2 \cdot 132 \times 10^{-9}} = 36 , \mu\text{H} $$

  • 근거: AN-2024-06, 페이지 10, Step 6

7. 자화 인덕턴스(Lm) 계산

k를 사용해 Lm을 구합니다.

       $$ Lm = k \cdot L1 = 4.45 \cdot 36 \times 10^{-6} = 160.2 , \mu\text{H} $$

  • 근거: AN-2024-06, 페이지 11, Step 7

8. 공진 탱크 비율(a, b) 설정

비대칭 설계를 위해 a(n²L2/L1), b(C2/(n²C1))를 가정합니다.

  • 가정: a = 0.95, b = 1.052 (ab ≈ 1)
  • 근거: AN-2024-06, 페이지 11, Step 8

9. 2차 공진 탱크 인덕터(L2)와 커패시터(C2) 계산

a와 b로 L2, C2를 계산합니다.

      $$ L2 = \frac{a L1}{n^2} = \frac{0.95 \cdot 36 \times 10^{-6}}{1.25^2} = 22 , \mu\text{H} $$

       $$ C2 = n^2 b C1 = 1.25^2 \cdot 1.052 \cdot 132 \times 10^{-9} = 216 , \text{nF} $$

  • 근거: AN-2024-06, 페이지 11, Step 9

10. 입력 전류(Iab) 계산

입력 임피던스(Zin)로 피크 전류를 구합니다.

  • Zin(40kHz) ≈ 26.1Ω, Zin(250kHz) ≈ 123.6Ω

        $$ I_{ab,p}(40\text{kHz}) = \frac{800}{26.1} = 30.66 , \text{A} $$

        $$ I_{ab,p}(250\text{kHz}) = \frac{800}{123.6} = 6.47 , \text{A} $$

  • 근거: AN-2024-06, 페이지 11, Step 10

11. 공진 탱크 전압 스트레스 계산

40kHz에서 부품 전압을 계산합니다.

       $$ V_{C1} = \frac{I_{ab,rms}}{2\pi f_s C1} = \frac{30.66 / \sqrt{2}}{2\pi \cdot 40 \times 10^3 \cdot 132 \times 10^{-9}} = 653 , \text{V} $$

        $$ V_{C2} = \frac{I_{cd,rms}}{2\pi f_s C2} = \frac{(30.66 / \sqrt{2}) / 1.25}{2\pi \cdot 40 \times 10^3 \cdot 216 \times 10^{-9}} = 320 , \text{V} $$

        $$ V_{L1} = 2\pi f_s L1 I_{ab,rms} = 2\pi \cdot 40 \times 10^3 \cdot 36 \times 10^{-6} \cdot (30.66 / \sqrt{2}) = 196 , \text{V} $$

         $$ V_{L2} = 2\pi f_s L2 I_{cd,rms} = 2\pi \cdot 40 \times 10^3 \cdot 22 \times 10^{-6} \cdot ((30.66 / \sqrt{2}) / 1.25) = 96 , \text{V} $$

  • 근거: AN-2024-06, 페이지 12, Step 11

12. 데드 타임 계산

ZVS를 위해 데드 타임을 계산합니다.

  • 조건: $$ \frac{1}{2} (Lm + L1) I_{m,peak}^2 > \frac{1}{2} (2 C_{DS}) V_{ab}^2 $$
  • 계산: $$ t_{dead} > 1.75 \cdot 2 \cdot (t_c + t_d + t_{diode}) \approx 300 , \text{ns} $$ (SiC MOSFET 기준)
  • 근거: AN-2024-06, 페이지 13, Step 12; 참조 [3]

제어기 분석

1. 정전압(CV) 모드 1P1Z 컨트롤러

  • 목적: 출력 전압을 안정화.
  • 전달 함수: 페이지 14의 전압 이득 식을 기반으로 계산.

               $$ \frac{n V_{out}}{V_{in}} = \frac{-j \omega_s^3 \left( \frac{21.29}{\omega_{r1}^3} \right)}{\omega_s^4 \left( \frac{5.45}{\omega_{r1}^4} \right) - j \omega_s^3 \left( \frac{26.011}{\omega_{r1}^3} \right) - \omega_s^2 \left( \frac{6.45}{\omega_{r1}^2} \right) + j \omega_s \left( \frac{4.7818}{\omega_{r1}} \right) + 1} $$

    • 폴 위치: (-2.76×10⁴ ± j1.58×10⁵, 감쇠 0.172), (-2.89×10⁵ ± j3.01×10⁵, 감쇠 0.694).
  • 분석: 오픈 루프는 안정하나, 단위 피드백 폐루프는 불안정(지속 진동). 1P1Z 컨트롤러로 안정성 개선.
    • 컨트롤러: $$ G_C(s) = k \frac{s + z}{s + p} $$ (k=0.01, z=200, p=0.01)
    • 결과: 보드 플롯(그림 15)에서 위상 마진 개선, 스텝 응답(그림 16)에서 안정성 확보. 정착 시간 약 0.5s (페이지 22, 그림 24).
  • 근거: AN-2024-06, 페이지 14-16, 3.1절; 그림 12, 15, 16

2. 정전류(CC) 모드 1P1Z 컨트롤러

  • 목적: 출력 전류(18.33A)를 안정화.
  • 전달 함수: 페이지 17에서 유도.

              $$ \frac{I_{cd}}{n I_{ab}} = \frac{Z_m}{Z_m + Z_2 + Ro} $$

    • Ro=73.7Ω 기준으로 계산.
  • 분석: 유사한 1P1Z 컨트롤러 사용.
    • 컨트롤러: $$ G_C(s) = k \frac{s + z}{s + p} $$ (k=250, z=400, p=1)
    • 결과: 보드 플롯(그림 20)에서 안정성 확인, 스텝 응답(그림 18)에서 정착 시간 약 0.25s (페이지 23, 그림 25).
  • 근거: AN-2024-06, 페이지 17-18, 3.2절; 그림 17, 18, 20

3. 동기 정류(SR) 제어

  • 목적: 2차측 스위치의 **동기 정류(SR)**로 전도/스위칭 손실 감소, 효율 향상.
  • 방법:
    • 이론적 계산: 위상 차(δ = ∠Z_ab + ∠(I_ab/I_cd))를 공진 탱크 파라미터로 추정 (페이지 19).

               $$ \angle \frac{n I_{ab}}{I_{cd}} = \tan^{-1} \left( \frac{\omega_s b}{\omega_{r1} Q} \cdot \frac{1}{1 - \left( \frac{\omega_s}{\omega_{r1}} \right)^2} \right) $$

    • 센서 기반: 전류 트랜스포머(CT) 또는 공진 인덕터 전압 적분으로 I_cd 제로 크로싱 감지 (페이지 20-21).
  • 분석: **동기 정류(SR)**는 I_cd 제로 크로싱과 동기화해야 순환 전류 방지. 보드 플롯(그림 21)에서 30kHz 이상은 인덕티브 영역(ZVS 가능), 이하는 커패시티브 영역(손실 증가). 효율 98.7% 달성 (페이지 26, 그림 30).
  • 근거: AN-2024-06, 페이지 19-21, 3.3절; 그림 21, 22; 참조 [4-5]

검증 및 주의사항

  • 시뮬레이션: PLECS로 CV/CC 모드 확인, 효율 98.7% (동기 정류(SR) 적용). 공진 탱크 파형(그림 27), 스위치 손실(그림 29) 분석 (페이지 22-26).
  • :
    • MATLAB/PLECS로 전압 게인 곡선 검증 (그림 8, 10).
    • SiC MOSFET과 **동기 정류(SR)**로 저부하 효율 향상.
    • FHA는 근사, 하드웨어 테스트 필수.
  • 주의: 역방향 모드는 n_r=0.8로 계산. 전압 스트레스(예: VC1=653V) 고려.

참조 문헌

  1. Infineon Technologies, “Operation and modeling analysis of a bidirectional CLLC converter, REF-DAB11KIZSICSYS,” Application Note AN-2024-06, Revision V1.01, 2024-07-10.

infineon-operation-and-modeling-analysis-of-a-bidirectiona-cllc-converter-applicationnotes-en.pdf
1.7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