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TD의 원리
RTD는 금속의 전기 저항이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해 온도를 측정하는 고정밀 센서입니다. 주로 플래티넘(백금, Pt), 니켈(Ni), 구리(Cu)가 사용되며, 플래티넘이 높은 안정성, 선형성, 내식성으로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저항-온도 관계
RTD의 저항은 온도에 따라 다음 식으로 표현됩니다:
\[ R_T = R_0 \left[1 + \alpha (T - T_0) + \beta (T - T_0)^2 + \cdots\right] \]
- \( R_T \): 온도 \( T \)에서의 저항 (Ω)
- \( R_0 \): 기준 온도 \( T_0 \) (보통 0°C)에서의 저항 (예: Pt100은 100Ω)
- \( \alpha \): 온도 계수 (플래티넘: 0.00385/°C, IEC 60751 기준)
- \( \beta \): 비선형 계수 (고온에서 고려)
- \( T \): 측정 온도 (°C), \( T_0 \): 기준 온도 (0°C)
저온(-50°C ~ 200°C)에서는 선형 항(\( \alpha \))만 고려하며, 고온(500°C 이상)에서는 비선형 항(\( \beta \))을 포함합니다.
대표 모델
- Pt100: 0°C에서 100Ω
- Pt1000: 0°C에서 1000Ω
- Pt500: 0°C에서 500Ω (덜 일반적)
RTD의 저항 변화는 금속의 격자 진동과 전자 산란 증가로 인해 발생하며, 플래티넘은 이 특성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해 산업 표준으로 채택되었습니다.
2. RTD의 재료
재료 | 온도 범위 | 온도 계수 (°C⁻¹) | 장점 | 단점 |
---|---|---|---|---|
플래티넘 (Pt) | -200°C ~ 850°C | 0.00385 (IEC 60751) | 높은 안정성, 선형성, 내식성 | 고비용 |
니켈 (Ni) | -80°C ~ 260°C | 0.00672 | 저렴, 민감도 높음 | 비선형성, 고온 안정성 낮음 |
구리 (Cu) | -100°C ~ 260°C | 0.00427 | 저렴, 선형성 우수 | 부식 취약, 고온 사용 불가 |
텅스텐 (W) | 0°C ~ 1500°C | 다양 | 초고온 사용 가능 | 상용화 제한, 취약성 |
플래티넘은 화학적 비활성과 넓은 온도 범위로 IEC 60751 표준에서 선호되며, 니켈과 구리는 HVAC, 가전과 같은 저비용 응용에 사용됩니다. 텅스텐은 항공우주와 같은 특수 고온 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3. RTD의 제조 방법
형태 | 제조 과정 | 특징 | 장점 | 단점 |
---|---|---|---|---|
와이어 권선형 | 고순도 플래티넘 와이어(0.01~0.1mm)를 세라믹/유리 코어에 감고, 보호 튜브로 절연 | 고정밀, 고온(850°C) 안정적 | 높은 정확도, 안정성 | 비용 높음, 진동 취약 |
박막형 | 세라믹 기판(알루미나)에 플래티넘 박막 증착, 레이저 트리밍, 보호층(유리/에폭시) 코팅 | 소형, 저비용, 빠른 응답 | 소형화, 비용 효율적 | 고온(500°C)에서 안정성 약간 낮음 |
제조 고려사항
- 순도: 플래티넘은 99.99% 이상으로 저항-온도 특성 일관성 보장.
- 스트레인 프리 설계: 열팽창/기계적 스트레스 최소화.
- 보호 코팅: 고온(세라믹), 부식성 환경(PTFE)에서 사용.
박막형 RTD는 반도체 제조 기술(스퍼터링, 레이저 트리밍)을 활용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최근 소형화 및 IoT 응용에 적합하도록 발전했습니다.
4. RTD의 구조
구성 요소 | 설명 | 재료 | 역할 |
---|---|---|---|
감지 요소 | 플래티넘 와이어(권선형) 또는 박막(박막형) | 플래티넘, 세라믹 기판 |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 감지 |
보호 튜브 | 감지 요소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 | 스테인리스강(316L), 인코넬, 세라믹 | 습기, 부식, 충격 방지 |
리드선 | 저항 신호를 측정 장치로 전달 | 구리, 은도금 구리 | 신호 전송 |
절연체 | 감지 요소와 리드선 간 전기적 절연 |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 전기적 간섭 방지, 열전도성 유지 |
연결부 | 외부 회로와 연결 | 터미널 블록, 트랜스미터 | 신호 출력, 통신 |
보호 튜브는 IP 등급(예: IP68) 방수/방진 요구사항에 따라 설계되며, 연결부는 산업 표준 프로토콜(HART, Profibus) 지원을 위해 트랜스미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5. RTD의 연결 방식
연결 방식 | 구성 | 장점 | 단점 | 용도 |
---|---|---|---|---|
2선 연결 | 두 와이어로 RTD와 측정 장치 연결 | 간단, 저비용 | 리드선 저항으로 정확도 낮음 | 저비용, 저정밀도 응용 (HVAC) |
3선 연결 | 두 와이어로 전류 공급, 세 번째로 전압 측정 | 리드선 저항 보상, 산업 표준 | 4선보다 약간 낮은 정확도 | 산업 공정 제어 (화학, 석유) |
4선 연결 | 두 와이어로 전류, 두 와이어로 전압 측정 | 리드선 저항 완전 제거, 고정밀 | 복잡, 비용 높음 | 실험실, 고정밀 응용 (연구) |
3선 연결은 리드선 저항을 상쇄하기 위해 브릿지 회로와 결합되며, 4선 연결은 전류 루프와 전압 측정을 분리해 최대 ±0.01°C 정확도를 제공합니다.
6. RTD의 센싱 방법
센싱 방법 | 원리 | 장점 | 단점 | 용도 |
---|---|---|---|---|
저항 측정 | 일정 전류로 전압 측정, 옴의 법칙 적용 | 간단 | 자기 가열 보정 필요 | 기본 응용 |
Wheatstone Bridge | 4개 저항으로 브릿지 구성, 전압 차이 측정 | 비용 효율적 | 비선형성 보정 필요 | 저비용 응용 (가전) |
정전류원 | 일정 전류(0.1~1mA) 공급 후 전압 측정 | 고정밀 (4선 연결 시) | 정밀 전류원 필요 | 고정밀 응용 (산업, 연구) |
디지털 변환 | ADC로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화, MCU로 변환 | 실시간 처리, 통신 가능 | 추가 회로 필요 | 스마트 시스템 (IoT, 자동화) |
디지털 변환은 IoT 및 Industry 4.0 응용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고해상도 ADC(24비트)는 미세한 저항 변화(0.01Ω)를 감지해 ±0.01°C 정확도를 제공합니다.
7. RTD의 센싱 회로 구성
구성 요소 | 역할 | 예시 | 특징 |
---|---|---|---|
정전류원 | RTD에 일정 전류(0.1~1mA) 공급 | LM317, 정전류 IC (REF200) | 자기 가열 최소화 |
브릿지 회로 | 저항 변화로 전압 차이 측정 | Wheatstone Bridge | 비용 효율적 |
ADC | 아날로그 전압을 디지털로 변환 | ADS1248, MAX11210 (24비트) | 고분해능 (0.01Ω 감지) |
MCU | 저항-온도 변환 및 처리 | STM32, Arduino, Raspberry Pi | 실시간 계산, 통신 가능 |
신호 조절 회로 | 노이즈 제거, 과전압/과전류 보호 | 저역통과 필터, TVS 다이오드 | 신호 안정성 향상 |
출력 인터페이스 | 측정값 외부 전송 | 4-20mA, HART, Modbus, Profibus | 산업 통신 호환 |
예시 회로 (3선 연결)
- 정전류원(1mA)으로 RTD(Pt100)에 전류 공급.
- 두 리드선으로 전류, 세 번째로 전압 측정.
- ADS1248(24비트 ADC)로 디지털화.
- STM32 MCU에서 Callendar-Van Dusen 계산.
- 4-20mA 출력으로 PLC에 전송.
최신 센싱 회로는 무선 통신(Bluetooth, Zigbee)을 통합해 원격 모니터링을 지원하며, EMI(전자기 간섭) 방지를 위한 쉴드 설계가 중요합니다.
8. RTD의 보정 방법
보정 방법 | 방법 | 장점 | 단점 | 용도 |
---|---|---|---|---|
고정점 보정 | ITS-90 고정점(물의 삼중점 0.01°C 등)에서 저항 측정 | ±0.001°C 수준의 고정밀 | 고가 장비, 전문 기술 필요 | 연구, 고정밀 보정 |
비교 보정 | 표준 온도계(SPRT)와 항온조에서 비교 | 산업 현장 실용적 | 고정점보다 정확도 낮음 (±0.05°C) | 산업 응용 |
자기 가열 보정 | 낮은 전류(0.1~1mA) 사용 또는 계수로 오차 보정 | 간단 | 추가 계산 필요 | 모든 응용 |
드리프트 보정 | 주기적 기준 온도(0°C) 측정으로 \( R_0 \) 갱신 | 장기 안정성 유지 | 정기적 측정 필요 (6개월~1년) | 장기 사용 환경 |
고정점 보정은 NIST(미국 표준기술연구소)와 같은 기관에서 수행되며, 비교 보정은 Fluke 5522A와 같은 보정 장비로 산업 현장에서 실행됩니다.
9. 표준에 따른 보정 알고리즘
표준 | 알고리즘 | 계수 | 적용 범위 | 특징 |
---|---|---|---|---|
IEC 60751 | Callendar-Van Dusen: 0°C 이상: \( R_T = R_0 [1 + A T + B T^2] \) 0°C 이하: \( R_T = R_0 [1 + A T + B T^2 + C (T - 100)T^3] \) |
\( A = 3.9083 \times 10^{-3} \), \( B = -5.775 \times 10^{-7} \), \( C = -4.183 \times 10^{-12} \) |
-200°C ~ 850°C | 비선형성 보정, 산업 표준 |
ITS-90 | 저항 비율 \( W(T) = R_T / R_{TPW} \), 기준 함수와 보정 항 적용 | RTD별 고정점 보정 계수 (\( \Delta W \)) | -200°C ~ 850°C | 초고정밀 (±0.001°C), 연구용 |
자기 가열 보정 | \( \Delta T = (\delta T / P) \cdot (I^2 \cdot R_T) \) | \( \delta T / P \): °C/mW (RTD별 측정, 예: 0.01°C/mW) | 모든 온도 범위 | 전류로 인한 오차 보정 |
드리프트 보정 | 기준 온도에서 \( R_0 \) 갱신 후 Callendar-Van Dusen 적용 | \( \Delta R_0 = R_{0,\text{new}} - R_{0,\text{initial}} \) | 모든 온도 범위 | 장기 안정성 유지 |
다항식 피팅 | \( T = a + b R_T + c R_T^2 + d R_T^3 \) | 최소 제곱법으로 계수 결정 | 비선형 환경 | 고정밀 보정, 복잡 계산 |
IEC 60751 Callendar-Van Dusen 상세
역방향 계산 (저항 \( R_T \)에서 온도 \( T \)):
- 0°C 이상: \[ T = \frac{-R_0 A + \sqrt{(R_0 A)^2 - 4 R_0 B (R_0 - R_T)}}{2 R_0 B} \]
- 0°C 이하: 3차 방정식을 Newton-Raphson 방법으로 수치적 풀이.
예시: Pt100, \( R_T = 138.5Ω \), \( R_0 = 100Ω \), 0°C 이상:
- \( A = 3.9083 \times 10^{-3} \), \( B = -5.775 \times 10^{-7} \).
- 계산 결과: \( T \approx 100°C \).
구현 예제 (Python)
def callendar_van_dusen(Rt, R0, A=3.9083e-3, B=-5.775e-7, C=-4.183e-12):
if Rt >= R0: # 0°C 이상
a = R0 * B
b = R0 * A
c = R0 - Rt
T = (-b + (b**2 - 4*a*c)**0.5) / (2*a)
else: # 0°C 이하 (단순화된 선형 근사)
T = (Rt / R0 - 1) / A
return T
# 예시: Pt100, Rt = 138.5Ω
print(callendar_van_dusen(138.5, 100)) # 출력: 약 100°C
IEC 60751은 산업용 RTD의 표준으로, 대부분의 트랜스미터(예: Siemens SITRANS)에 내장되어 실시간 온도 변환에 사용됩니다.
ITS-90 상세
저항 비율 \( W(T) = R_T / R_{TPW} \)를 사용, \( R_{TPW} \)는 물의 삼중점(0.01°C)에서의 저항.
예시: \( R_{TPW} = 100.01Ω \), 100°C에서 \( R_T = 138.5Ω \) → \( W \approx 1.3849 \).
ITS-90 테이블 또는 역함수로 온도 변환, 연구용 SPRT에 사용, ±0.001°C 정확도.
자기 가열 보정 상세
전력 \( P = I^2 \cdot R_T \), 오차 \( \Delta T = (\delta T / P) \cdot P \).
예시: Pt100, 1mA, \( R_T = 100Ω \), \( \delta T / P = 0.01°C/mW \):
- \( P = (0.001)^2 \cdot 100 = 0.1mW \).
- \( \Delta T = 0.01 \cdot 0.1 = 0.001°C \).
자기 가열은 전류를 0.5mA 이하로 낮추거나 펄스 전류를 사용해 최소화 가능.
드리프트 보정 상세
주기적 0°C 측정으로 \( R_0 \) 갱신.
예시: 초기 \( R_0 = 100Ω \), 1년 후 \( R_{0,\text{new}} = 100.05Ω \) → \( \Delta R_0 = 0.05Ω \).
드리프트는 열적 노화, 기계적 스트레스, 화학적 오염으로 발생하며, 정기적 교정으로 관리됩니다.
다항식 피팅 상세
다항식: \( T = a + b R_T + c R_T^2 + d R_T^3 \).
최소 제곱법으로 계수 결정, 비선형 환경(예: 극저온)에서 사용, MATLAB 또는 Python의 numpy.polyfit
으로 구현 가능.
10. IEC 60751 허용 오차 등급
등급 | 허용 오차 (°C) | 적용 온도 범위 |
---|---|---|
Class AA | ±(0.1 + 0.0017|T|) | -50°C ~ 500°C |
Class A | ±(0.15 + 0.002|T|) | -100°C ~ 450°C |
Class B | ±(0.3 + 0.005|T|) | -200°C ~ 850°C |
Class AA는 고정밀 응용(예: 의료, 연구), Class B는 일반 산업용으로 사용됩니다. 100°C에서 Class A는 ±0.35°C입니다.
11. RTD의 상용 제품
제조사 | 모델 | 특징 | 응용 |
---|---|---|---|
Omega Engineering | PR-10, F2020 | 다양한 보호 튜브, 3선/4선 옵션 | 공정 제어, HVAC, 실험실 |
Honeywell | STT850 | 방폭, 고온용, 트랜스미터 내장 | 석유화학, 항공우주 |
Siemens | SITRANS TH320 | HART/Profibus 통신 | 산업 자동화, 에너지 관리 |
Fluke | 5627A | 고정밀 (±0.05°C), 실험실용 | 보정, 연구 |
WIKA | TR10-C | 방수/방폭 (IP68) | 화학, 식음료 산업 |
Omega의 PR-10은 맞춤형 길이와 튜브 재질로 유연성을 제공하며, Siemens SITRANS는 SCADA 시스템과의 통합이 뛰어납니다.
12. RTD의 장점과 단점
항목 | 설명 |
---|---|
장점 |
|
단점 |
|
13. RTD와 다른 온도 센서 비교
항목 | RTD | 열전대 | 써미스터 |
---|---|---|---|
온도 범위 | -200°C ~ 850°C | -200°C ~ 2300°C | -50°C ~ 250°C |
정확도 | ±0.1°C | ±1°C | ±0.2°C |
선형성 | 우수 | 보통 | 낮음 |
응답 속도 | 중간 (박막형 빠름) | 빠름 | 매우 빠름 |
비용 | 높음 | 저렴 | 매우 저렴 |
내구성 | 중간 | 높음 | 낮음 |
열전대는 고온(2300°C)에서 우수하지만 정확도가 낮고, 써미스터는 빠른 응답 속도와 저비용이 장점이나 온도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14. RTD의 응용 분야
분야 | 용도 | 사례 |
---|---|---|
산업 | 화학, 석유, 제약 공정 온도 모니터링 | 정유 공정에서 배관 온도 측정 |
HVAC | 난방, 환기, 공조 시스템 |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
의료 | 체온계, 인큐베이터, 혈액 분석기 | 인큐베이터 온도 제어 (±0.1°C) |
자동차 | 엔진, 배기 시스템 온도 측정 | 디젤 엔진 배기 가스 모니터링 |
항공우주 | 극한 환경 온도 모니터링 | 우주선 연료 탱크 온도 측정 |
연구 | 고정밀 실험 | 실험실 항온조 보정 |
석유화학 플랜트에서는 Pt100 RTD를 사용해 반응기 온도를 ±0.1°C로 제어하며, 의료 인큐베이터는 Class AA RTD로 신생아 체온을 정밀 관리합니다.
15. RTD 사용 시 고려사항
항목 | 설명 |
---|---|
리드선 보상 | 3선/4선 연결로 리드선 저항 제거 |
자기 가열 | 0.1~1mA 전류로 최소화, 펄스 전류 가능 |
환경 보호 | 부식성 환경에서 스테인리스강/PTFE 튜브 사용 |
설치 | 열원에 직접 노출, 열전도성 페이스트 사용 |
보정 | 6개월~1년 주기 보정, NIST 추적 가능 |
설치 시 열전도성 페이스트(예: 실리콘 그리스)를 사용해 열전달 효율을 높이고, 부식성 환경에서는 Hastelloy 튜브를 고려합니다.
16. RTD의 표준화된 테스트 방법
IEC 60751 테스트
- 저항-온도 특성: 0°C, 100°C, 500°C에서 저항 측정 후 Callendar-Van Dusen 계수 검증.
- 내구성 테스트: -50°C ~ 500°C에서 1000회 온도 사이클 후 드리프트 측정.
- 절연 저항: 100V DC에서 100MΩ 이상 확인.
ITS-90 테스트
- 고정점(물의 삼중점, 갈륨 융점 등)에서 \( W(T) \) 측정.
- SPRT로 ±0.001°C 정확도 검증.
산업용 RTD는 ISO 17025 인증 보정소에서 테스트되며, 테스트 결과는 인증서로 제공됩니다.
17. RTD 관련 최신 동향
동향 | 설명 |
---|---|
스마트 RTD | IoT 통합으로 무선 데이터 전송 (Bluetooth, Zigbee) |
소형화 | 박막형 RTD로 비용 절감, 웨어러블 기기 적용 |
고온용 | 1000°C 이상 신소재(세라믹 복합재) 개발 |
저전력 | 배터리 기반 무선 RTD,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
스마트 RTD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분석(예: AWS IoT)과 통합되어 공정 최적화를 지원하며, 웨어러블 의료 기기에서 박막형 Pt1000이 사용됩니다.
18. 결론
RTD는 높은 정확도(±0.1°C), 선형성, 안정성으로 산업, 의료, 연구에서 필수적인 온도 센서입니다. IEC 60751의 Callendar-Van Dusen 및 ITS-90 기반 보정 알고리즘은 고정밀 온도 변환을 보장하며, 센싱 회로(정전류원, 24비트 ADC, MCU)와 연결 방식(3선/4선)은 정확도를 극대화합니다. 상용 제품은 Omega, Honeywell, Siemens 등에서 제공되며, 사용 환경에 맞는 설계(보호 튜브, 리드선)와 정기적 보정(6개월~1년)이 중요합니다. IoT, 소형화, 고온용 신소재로 RTD의 응용 범위는 계속 확장되고 있습니다.
'Sensor > 온도센서(Temper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rmistor(써미스터) (0) | 2025.08.05 |
---|---|
RTD 온도 센서 보상 알고리즘 (RTD Temperature Sensor Compensation Algorithm) (0) | 2025.08.05 |
ThermoCouple(열전대) NIST 기반 보정 알고리즘 코드 구현 (0) | 2025.08.04 |
Thermocouple(열전대) (0) | 2025.08.03 |
Temperature Sensor(온도센서) 관련 전체 요약 (0) | 2025.08.03 |